한국의 역사문화유적

[스크랩] [국사정리]선사시대-고려

홍미인 2014. 4. 30. 13:29
 

제 1 장 선사시대의 사회와 문화


1. 인류의 시작

․300만년전 → 500만년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인간의 기준 : 직립보행 여부(예전엔 두뇌용적)

              ; 도구제작 ┌ 자신을 보호, 농경, 목축 -> 문명의 발생

                         ㄴ 사냥을 위한 장거리 여행 가능 -> 털 없어짐(체온유지기능)

․언어


2. 한민족의 형성

1) 선사시대의 문화권

동아시아에서는 선사시대에 여러 민족이 문화의 꽃을 피우면서 발전하여

한족 문화권(황화 유역), 화남 문화권(양자강 이남),

북방 문화권(몽고 지역), 남방 해양성 문화권(일본․동남아시아의 섬지방),

동방문화권(화이허 유역, 산뚱 반도, 발해만, 한반도)을 이룩하였다.


2) 민족의 계통과 형성

  ☞ 구석기인은 우리의 직적접인 조상이 아니다 ; 네차례의 빙하기로 멸종 혹은 타지역으로 이동, 한반도 구석기 유적은 이후 신석기 유적이 발견이 발견되지 않음.

=> 청동기 문화를 이룩한 민무늬기인이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인을 흡수․병합함. 


3. 구석기․중석기․신석기 문화

구석기 문화

(약70만년전)

석기를 다듬는

수법에 따라

전기․중기․

후기로 구분

 

유  적  지 

함북 웅기 굴포리

평남 덕천 승리산(사람화석)

충북 청원 두루봉

경기 연천 전곡리(유럽계통의 주먹도끼와 아시아계통의 찍개가 동시 출토)

충북 제천 점말동굴

제주 빌레못동굴

평남 상원 검은모루동굴

충남 공주 석장리

충북 단양 수양개

경 제 활 동

자연경제 : 수렵, 어로, 채집

도    구 : 뗀석기, 골각기

사 회 생 활

가족단위의 무리사회(3~4명*10가구, band)

평등한 공동체적 생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

불, 언어 사용

예 술 활 동

개 석상, 조각, 그림, 주술적 의미의 선각화

☞ 화덕지 또는 불사용 흔적 유적지 : 청원 두루봉, 공주 석장리, 웅기 굴포리


중석기 문화

(1만년전

  ~ 8천년전)

  유  적  지

통영 상노대도 조개무지

거창 임불리 유적

  특     징

잔석기 시대, 활의 고안

* 중석기 시대의 특징 : 빙하기 후 기후의 변동으로 거대한 동물은 멸종되고, 여우, 토끼, 쥐 등의 작고 날쌘 동물 출현 => 활, 창 고안

신석기 문화

(약B.C 6천년전)

유  적  지

함북 웅기 굴포리

강원 양양 오산리

부산 동삼동    

서울 암사동  

봉산 지탑리(탄화된 피)      

하남시 미사동 

평양 남경(탄화된 조)

경 제 활 동

(농경․정착    생활 시작)

농경 : 조, 피, 수수       

농기구 : 돌괭이, 돌삽

원시수공업 : 직조(가락바퀴, 뼈바늘)

토기 : 이른민무늬 → 덧무늬 → 빗살무늬

사 회 생 활

부족사회, 족외혼, 평등사회        

강가, 해안가 - 움집

종 교 생 활

애니미즘, 조상숭배, 샤머니즘, 토테미즘

토우, 조개껍데기 가면, 조각물, 장신구


☞ 신석기 혁명이란 ?

․자연경제 => 생산경제(농경, 목축)로의 전환

․신석기 후기에 이룩 => 문명 탄생의 길로 들어섬

․농경 => 안정된 식량확보 => 잉여생산물 축적 => 부족대표의 저장 => 사유재산화 => 계급발생


☞ 모계제사회에서 부계제사회로의 전환

구석기시대는 안정된 채집생활을 하던 모계제사회로 추정되나, 농경의 시작과 더불어 부계제로 전환


4. 신석기 문화와 청동기 문화의 비교

     신 석 기  문 화

 

    청  동  기   문  화

B.C. 6000년경

B.C. 10세기~ B.C. 6세기

혈연에 기반한 부족사회,

모계사회

지역중심의 군장사회,

부계사회

평등사회, 농경 + 수렵, 어로

계급사회, 농업의 전업화

토지와 재산 공유(자급자족)

토지와 재산 사유(경제교류)

빗살무늬토기, 바닷가, 강가

민무늬토기, 구릉지대

원시신앙

선민사상

☞ 시대별 조개더미 유적

조개더미

      신    석    기

    청    동    기

  철     기

웅기 굴포리, 부산 동삼동

     양산, 몽금포

  김해, 웅천

제 2 장 금속문화와 국가의 형성


☞ 문명의 발생

국가. 문자, 청동기, 계급, 도시, 치수사업 등


* 우리나라에서 벼농사가 시작된 시기 ? 청동기 시대


1. 평등 사회에서 계급 사회로의 이행 과정

   ① 잉여 생산물의 축적       ┐

   ② 가부장적 사회 성립       │→ 공동생산, 공동분배 관리자의 권력 강화 → 군장의 출현

   ③ 사유 재산과 계급 발생    ┘


2. 청동기시대가 철기시대에 선행하는 이유 ?

청동은 구리+주석+아연 등의 합금이며 철은 철광에서 추출만 하면 쉽게 얻을 수 있어 청동보다는 철이 오히려 발견하기 쉬운 금속처럼 생각되는데 인류의 역사는 청동기시대 다음에야 철기시대로 전개되었다. 이는 산지의 제약으로 말미암아 청동기 문화는 전지역에 보편화되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그 지배력의 형성과 범위를 중심으로 생각해 보면 철의 용련이 가능한 온도를 알지 못했기 때문이며, 철기 문화는 숯을 사용하여 고온을 내는 방법을 알기 시작하면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3. 청동기․초기철기문화 비교

  청  동  기  시  대(B.C. 10세기~ B.C. 6세기)

   초  기  철  기  시  대(B.C. 4세기부터)

반달돌칼, 바퀴날 도끼 등의 석기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북방시베리아계통)

미송리식 토기, 민무늬토기

철제 농기구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청동기의 독자적 발전)

덧띠토기, 검은 간 토기, 붉은 간 토기

① 사유재산과 계급발생(고인돌․선민사상)

② 석기의 다양화, 농경의 발달

   ☞ 청동기시대 농기구는 석기.

③ 유 물  : 민무늬토기, 반달형 돌칼, 비파형 동검

④ 예술품 : 청동제 제사도구, 토우

① 경제기반 확대

② 중국과의 교역(명도전;연), 한자의 이용(창원 다호리유적 붓 발견)

③ B.C. 194년(위만조선) 이후

   철기의 본격적 수용으로 농업․수공업 발달

※ 청동기 시대 암각화의 특징 : 태양의 표현(농업생활을 의미)


4.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변화

   ․1차 전래(BC4C) : 전국시대 중국의 유이민의 유입(명도전 출토로 확인)

   ․2차 전래(BC194) : 위만조선의 성립과 더불어 2차 보급 = 철기문화의 본격적 수용

   ․3차 전래(고조선 멸망후, BC108) ; 한군현 시기에 전반적인 성숙 = 철기문화의 한반도 전국화

      - 청동기의 의기(儀器)화 : 철기무기와 도구의 사용으로 인하여

                               종래 사용해 오던 청동기는 의기화

      - 활발한 교역(交易) : 철기의 사용과 함께 중국 화폐인 명도전(明刀錢) 등이 사용되어

                           당시의 활발한 교역 관계를 보여줌

      - 한자(漢字) 사용 : 경남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는 청동기․철기 유물과 함께 붓이 발견되어,

                         이 시기에 한반도 남단에까지 한자가 사용된 좋은 증거가 되고 있음

   ․주거생활 : 구릉, 지상가옥

   ․사회생활 : 빈부․계급차, 군장 등장, 남녀간의 전문적 분업화⇒ 가부장적 가족제도 등장


5. 고조선(B.C. 2333~B.C. 108) = 비파형동검․미송리식 토기 출토지와 일치

단군신화

역사적 의미

① 선민 사상(환인, 환웅)

② 유이민의 도래(청동기 문화 집단의 이주)

③ 농경문화(풍백, 우사, 운사)

④ 토테미즘(곰, 호랑이)

⑤ 부족 연합체(웅녀족+환웅족)

⑥ 제정일치의 농경사회(단군왕검)

⑦ 고조선 성립이라는 역사적 사실 반영

단군신화

수록문헌

삼국유사(고려충렬왕, 일연 ; 최초)   제왕운기(이승휴)

세종실록지리지                     응제시주(권람) 

동국여지승람(노사신)               동국통감(서거정)

8조 금법

한서지리지

살인자 처형 → 생명 중시

절도자는 노비 혹은 50만전 배상 ┐

상해자 곡물로서 배상           ┘→ 계급사회

※ 부인의 순결성 강조 → 가부장제 사회


6. 여러 나라의 정치․사회․경제․문화의 비교(ꡔ삼국지ꡕ위지 동이전 출전)

 

  정 치․사 회

    경    제

  제천행사

     풍     속

  특 산 물

    기  타

부   여

5부족 연맹체

사출도 통치

제가회의

※왕-제가-호민     -하호-노비

반농반목;마가, 우가, 구가, 저가

영 고(12월)

순장, 일책십이법,

일부다처제, 우제점법, 형사취수제, 4조목

말․주옥․

모피

왕권 미약

고구려 문자왕 494년에 멸망

고   구   려

5부족 연맹체

대가(관리: 사자,        조의, 선인

下戶하호의 존재

약탈경제

부경(창고)

동 맹(10월)

예서제(데릴사위제)

맥궁(화살)

고대국가로 발전

옥   저

군장국가

읍군, 삼로

해산물 풍부

토지 비옥

예부제(민며느리제)

해산물, 소금

고구려 태조왕때 멸망

동   예

군장국가

읍군, 삼로

농경․어로․

방직기술

무 천(10월)

족외혼, 책화

(씨족사회유풍)

단궁, 과하마, 반어피

고구려에 흡수

삼   한

대족장(신지,견지)

소족장(읍차,부례)

벼농사

철의 수출(변한)

계절제(10월)

수릿날(5월)

초가지붕의 귀틀집, 소도, 수리시설

철(변한)

제정분리사회,

노비 존재

※ 삼한의 건국 : 고조선 유이민(철기문화보유)+토착민(辰진; 청동기문화) 융합

                ⇒ 소도(천군)의 탄생 ; 신․구 문화의 완충지, 제정분리사회의 단면


7. 시대별 묘제의 변천

① 신석기 시대 : 토묘, 골장제            ② 청동기 시대 : 고인돌 → 돌널무덤 → 돌무지 무덤

③ 청동기말 철기초기 : 널무덤            ④ 철기 시대 : 독무덤



제 3 장 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


1. 고대 사회의 성격

   - 국내 : 율령반포, 불교수용  --┐

   - 국외 : 정복활동    ---------┘ ※왕권의 확대 과정 


   ① 왕권의 강화와 중앙집권적인 정치제제 성립이 지표

       a. 부자상속 /  b. 부족장은 귀족적 관료로 전락(공복제, 고대적 신분제)

   ② 정복활동을 통한 영역국가

   ③ 국가 이념으로 불교 신봉

       a. 불교는 왕권의 신성함과 우월성 뒷받침

   ④ 국가, 영토의식이 나타나 대외적인 민족의 자주성과 주체성 발휘

       a. 광개토대왕, 법흥왕의 연호 사용 /  b. 수, 당과의 빈번한 항쟁

       c. 율령 반포  /  d. 역사 편찬              


☞ ‘국가’의 성립에 대해서

․법률, 군대, 감옥, 관료제도 ⇒ 정치적 권력과 경제력이 확립된 시기

                                : 대체로 청동기를 거친 철기 시대


☞ 국가 발전 단계

․군장국가 ; 왕은 없고, 군장만 존재

․연맹국가 ; 왕(대수장)이 존재, 그러나 부족장 세력이 존재

․중앙집권국가 (고대국가) ; 종래 부족장 세력은 왕의 관료로 포용, 강력한 중앙집권국가 형성


2. 삼국의 발전

구  분

고대사회기틀

고대사회 완성

율 령 반 포

불 교 수 용

정 복  군 주

고구려

  태조왕(2C)

소수림왕(4C)

   소수림왕 

소수림왕(372)

   장수왕(5C)

백  제

  고이왕(3C)

근초고왕(4C)

   고이왕   

  침류왕(384)

근초고왕(4C)

신  라

  내물왕(4C)

  법흥왕(6C)

   법흥왕   

  눌지왕(5C)

   진흥왕(6C)


① 고구려의 영토확장 과정

옥저정복

옥저정복

서안평공격

낙랑축출

고대사회완성

2C-태조왕

 

2C-고국천왕

 

3C-동천왕

 

4C-미천왕

 

4C-소수림왕

 

만주진출             부자상속            위 관구검 침임     낙랑축출313년         불교수용

계루부고씨-          5부족->행정5부로.                                            태학설립

왕위독점(형제상속)   진대법 실시                       *고국원왕-근초고왕에게 전사    율령반포


  요동 확보

한강유역확보

5C-광개토왕

 

  5C-장수왕

요동의 철 확보         평양으로 천도

                       나제동맹유발(경당)

                  백제 개로왕전사


② 백제의 영토확장 과정

  한강유역차지

(고대사회형성기)

  해외발전기

(고대사회완성)

고구려 남진정책

    웅 진 천 도

(남조와 통교, 22담로)

사비천도

(중흥정책)

  3C - 고이왕

 

4C - 근초고왕

 

개로왕 전사

 

    5C - 문주왕

 

6C - 성왕

목지국병합                마한정복                                       동성왕-무령왕 ; 웅진시대     남부여로 개칭

관제마련, 율령반포         평양성공격

관리복색제정, 형제상속     부자상속


③ 신라의 영토확장 과정

고대사회기틀마련

울릉도지역 확보

  금관가야 정복

영토의 확장(순수비)

  4C -내물왕

 

  6C 초-지증왕

 

6C 중엽-법흥왕

 

6C 중엽-진흥왕

낙동강유역 점령            국호 ; 신라, 왕 호칭      병부 설치(군사권장악)      대가야정복, ‘국사’ 편찬, 여제동맹유발

김씨 왕위독점              지방 군주파견            율령반포, 불교공인         울진봉평비, 단양적성비

마립간(대수장)             신라의 漢化정책           상대등 설치, 금관가야정복  북한산,창녕,황초령,마운령비

고구려 군사적 후원                                  ‘건원’ 연호사용


④ 가야 연맹의 성립 및 멸망

6가야의 성립

(금관가야 중심

철기문화)

6가야의 발전

(대가야 중심)

6가야의 멸망(금관가야-법흥왕, 대가야-진흥왕)

신라문화에 영향, 일본 스에키 문화(가야식토기)에 영향

   2~3C경

 

      5C

 

                    6C

벼농사

철의 생산과 중계무역


⑤ 신라의 시대구분 

  

  구  분

1(박혁거세)        -22(지증왕)

23(법흥왕)

-28(진덕여왕)

29(무열왕)

  -36(혜공왕)

37(선덕왕)

   -56(경순왕)

ꡔ三國史記ꡕ

상 대(성골)

중대(무열진골)  

하대(내물진골)

ꡔ三國遺事ꡕ

상고(고유왕명)

중고(불교식왕명)

하 고(중국식왕명)

골   품 

        성         골

        진        골



3. 삼국의 항쟁과 중국과의 외교관계


  구  분

      4 C(백제)

   5 C (고구려)

    6 C (신라)

     7 C (통일기)

강성배경

중국문물수입을 가장먼저 하여 국가체제 정비

소수림왕의 중앙집권국가 완성이 배경

지증왕의 우경실시로 인한 경제적 기반 발전

법흥왕의 고대사회완성

 

  고구려

  낙랑축출(313)

  불교․태학․

  율령(373)

  요동 확보

  평양천도

한강유역 확보

수․당과 항쟁,

천리장성

멸망(668)

  백  제

  마한, 요서,

  산동, 일본 진출

  (근초고왕)

  나제동맹(433)

  결혼동맹(498)

  웅진천도(475)

  사비천도(538)

  관산성전투(553)

  → 나제동맹결렬

여제동맹, 신라공격

멸망(660)

  신  라

  김씨왕위세습

  마립간

    나제동맹

우경, 율령, 불교공인,   한강․낙동강․함흥

평야진출(지증-진흥왕)

나당동맹(648)

삼국통일(676)

  중  국

  5호 16국 →

   북    위 →

  동 위 → 북 제 →

  서 위 → 북 주 →

  → 수 → 당

  동    진 →

   송 ․ 제 →

    양  →   진  →

동아시아

외교관계

고구려-신라-전진

고구려-북위,송,제

고구려-백제-일본-돌궐

  고구려-백제-일본

         ⇕

         ⇕

           ⇕

         ⇕

  백제-일본-동지

    신라-백제

       신라 - 수

     신라 - 당

삼국은 중국의 분열을 교묘히 이용하며 자국의 이익 극대화 추구


4. 신라의 삼국통일

나당동맹

백제멸망

고구려멸망

    당군축출

통일완성

   648

 

   660

 

     668

 

매소성․기벌포

 

  676


☞ 신라의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5. 발해의 성립

발해의 건국

대조영이 길림 동모산에 건국(698)

     ↓

지배층 - 고구려인

피지배층 - 말갈족

발해의 발전

무 왕(8C초반)

대당 강경책, 영토확장

     ↓

문 왕(8C후반)

대당 화친책, 당문물 수입

선 왕(9C)

발해의 전성기(해동성국)

※왕권의 전제화(독자적 연호 사용, 장자상속제)

발해의 멸망

926년

☞ 발해 국적의 문제 ; 고구려 - 일본국서, 굴식 돌방무덤양식, 온돌, 기와 양식

                      중국의 영향 - 주작대로

☞ 발해의 역사적 의의

① 발해의 지배계층

: 지배층은 왕족인 大氏와 귀족인 高氏 등 거의가 고구려 사람이었으나, 일본에 파견된 사신 正使 85명중 만주식 성명을 가진 자가 6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소수의 말갈인도 지배층에 포함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령이라고 불리는 말갈인이 지방 촌락 단위를 통치했다.

② 발해에 관한 역사적 인식

: 김부식의 ꡔ삼국사기ꡕ에는 발해사를 다루지 않음.

: 일연의 ꡔ삼국유사ꡕ 말갈․발해전에서 ꡔ신라고기ꡕ를 인용하여 발해를 서술함.

: 고려말 이승휴의 ꡔ제왕운기ꡕ에서 발해역사를 민족사에 편입시키려는 태도 언급.

: 18세기 실학자 유득공이 ꡔ발해고ꡕ에서 「남북국시대」로 파악

: 그 외 이종휘의 ꡔ동사ꡕ, 정약용의 ꡔ아방강역고ꡕ, 한치윤의 ꡔ해동역사ꡕ, 서상우의 ꡔ발해강역고ꡕ

  신채호의 ꡔ조선상고사ꡕ, 장지연의 ꡔ백두산정계비고ꡕ 등에서 발해를 우리 역사로 인식함.


6. 고대국가의 정치․행정․군사 조직 비교

구  분

     고 구 려

     백    제

신   라

통일신라

발  해

중앙관제

  10관등(형, 사자)

   16관등(솔,덕)

   6좌평․22부

17관등(찬)

병부 등 10부

17관등(찬)

집사부외 14부

3성 6부

정당,선조,중대성 - 충인의지예신

귀족회의

     제가회의

    정사암회의

화백회의

화백회의

정당성

행정

조직

중   앙

       5 부

       5 부

6부

6부

지   방

   5부(장 : 욕살)

5방(방령)→군(5성)

5주(군주)

9주

(총관→도독)

15부(도독)

62주(자사)

특   수

       3 경

(평양성,국내성,한성)

      22담로

    (왕족 파견)

2소경

(장 : 사신)

5소경(사신)

군(태수)

현(현령), 촌

5경

수    상

      대대로

내신좌평(상좌평)

상대등(법흥왕)

시중

대내상

군사제도

    성주, 족장

대모달,말객(유사시)

방령․군장

서당․6정 군주

9서당(중앙)

10정(지방)

8위

(대장군,장군)

☞ 삼국 군사제도의 특징 ; 군사제도-지방행정제도(지방장관이 행정권+군사권+사법권 행사)

                        ; 신라 군주--> 총관--> 도독(군사권 탈락) ⇒ 9서당 10정의 성립


☞ 역대귀족합의기구

고 구 려

백  제

신    라

발  해

고려전기

  고려후기

조선전기

조선후기

제가회의

정사암

화백회의

정당성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의정부

  비변사


☞ 통일신라 신문왕의 제도 정비

   9주 5소경 설치, 집사 및 6부체제 정비, 9서당 10정 설치, 국학 설치, 녹읍폐지와 관료전 지급


7. 통일신라의 왕권 강화책

   ① 국왕직속기구인 시중 세력 강화(상대등 세력의 약화)

   ② 관료제 정비

   ③ 관료전 지급(녹읍 폐지)

   ④ 상수리 제도 실시(지방 호족세력 견제)

   ⑤ 국학설립(유교적 정치 이념 도입)

제 4 장 고대국가의 사회



1. 고대 국가의 사회와 경제

1) 고대사회 성격

   ․엄격한 신분제 사회(귀족-평민-노비)  ; 골품제 사회

   ․율령제정(법령에 따른 지배 표방)

   ․친족공동체 사회(개인의 신분은 친족의 사회적 위치로 결정)

   ․산업생산의 증대(농업․목축업․어업․수공업․중국,일본과 무역)  ; 고리대(진대법 실시)

2) 고대의 사회구성

   ․고 구 려 : 고씨(왕족) - 5부 출신귀족 - 농민 - 下戶(하호) ; 진대법

   ․백    제 : 부여씨와 8성귀족 - 농민 - 천민 - 노비

   ․신    라 : 골품제도(관등조직과 친족등급 표시), 화백제도, 화랑제도(씨족사회 전통유지), 세속오계

      ․통일신라 : 왕권의 전제화, 6두품의 사회적 역할(중대, 하대), 지방 호족의 등장

      ․발    해 : 고구려유민 - 말갈족(전통적 말갈 사회의 내부 조직 유지)


   ▶ 신라의 골품 제도

① 발생 배경 : 왕권 확립 과정에서 각 족장 세력의 통합 편제 와중에 발생.

               그 세력의 크기에 따라 4, 5, 6 두품의 신분 수여

② 역사적 의미 : 개인 신분 뿐만 아니라 그 친족의 등급도 표시.

               : 가옥, 복색, 수레까지 제한

               : 사회 활동, 정치 활동의 범위 제한

               : 신라의 관등 조직과 밀접하게 연관.

               : 6두품의 정치적 제한 ⇒ 6두품의 사회적 역할 규정 짓는 계기


▶ 신라의 화백 제도

① 만장 일치 제도 ⇒ 왕권과 귀족 세력간의 권력 조절 기능 ⇒ 중앙 집권화의 미비

② 씨족 사회의 전통


▶ 신라의 화랑도 제도

① 씨족 사회의 전통을 따른 청년 전사 집단

② 계급 간 갈등 대립 조절 기능(낭도 구성에는 계급 차별 의식 無)

③ 세속 오계


   3) 통일 신라의 지방 통치책

      ․5소경제 ; 경주의 편재성 보완, 중앙집권화 정책, 지방 문화의 육성

      ․향․소․부곡의 존재

      ․상수리제도 → 고려 기인제도로 계승


4) 고대의 경제생활

   ․촌 단위의 농민 편제

   ․국가의 노동력과 생산자원의 관리 철저(민정문서 : 촌주가 3년마다 조사)

   ․삼국의 경제생활 ┌ 왕토사상의 대두와 귀족 중심의 경제(식읍․녹읍․고리대)

                     └ 수취 제도 : 조(호세, 곡식)․세(인두세, 베, 포)․역(군역,부역) 부담

   ․통일신라의 경제생활 - 토지제도

     

녹읍

(귀족

경제

기반)

녹읍폐지

(귀족약화의도)

정전지급

(국가의 농민

지배력 강화)

녹읍 부활 

(귀족세력 강화)

관료전 지급

(국가의 토지

지배력 강화)

 

신문왕(689)

 

성덕왕(722)

 

경덕왕(757)

* 식읍 : 공이 있는 자에게 하사하는 사유지

* 녹읍 : 귀족 및 일반 관료에게 지급하는 토지+농민

* 관료전 : 귀족 및 일반 관료에게 지급하는 토지

* 정전 : 원래 농민의 토지를 국가가 파악하여 조세 징수.


      ․고대의 대외무역 고구려: 남․북중국․북방민족

                        │ 백  제 : 남중국․일본

                        │ 신  라 : (초기) 고구려, 

                        |          (한강유역 점령후) 중국

                        |         무역항 - 영암, 남양만, 울산(이슬람 상인의 왕래)

                        |         장보고 - 신라방, 신라소, 신라관, 신라원

                        └ 발  해 : 덩저우에 발해관 설치, 일본

2. 고대문화의 발달


☞ ‘종교’와 ‘세계종교’의 등장

유일신(교주), 메시아, 경전, 교단조직, 내세관,

◎ 세계종교로의 발전 요소 : 평등사상 내재


1) 삼국의 문화

☞ 고구려의 고분벽화

: 도교의 영향을 받은 사신도 외에 당시의 생활풍속, 가옥, 수렵, 행렬 등의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특히나 쌍영총의 팔각 쌍주와 두팔천정은 서역 계통의 영향을 받음.


※ 삼국시대 고분 양식

① 삼국시대

   ㉠ 고구려 : 돌무지무덤 → 굴식 돌방무덤

   ㉡ 백제 : 굴식 벽돌무덤(공주 송산리 고분) → 굴식 돌방무덤(부여 능산리 고분)

   ㉢ 신라 : 구덩식 돌무지 덧널무덤

② 통일신라 시대 : 굴식 돌방무덤

③ 발해 : 굴식 돌방무덤

  구 분

고   구   려

백      제

신      라

  성 격

패기, 정열

(중국북조 영향)

초기에는 소박하나, 남조영향 후에는 세련된 귀족문화

소박 → 조화미

원시종교→

불 교

호국사상, 왕실불교, 귀족불교, 현세구복신앙(중앙집권화의 필수요건)

사상적 통일이 없고 토착신앙과 융합되어 샤머니즘적 성격

◉ 영향 : 초부족적 사상의 통일, 계몽적 역할, 불교미술의 발달

삼론종, 보덕(열반종)

겸익(율종)→6세기 일본전래

자장(계율종)

  도 교

연개소문, 사신도

산수문전, 사택지적비

국선도․풍월도(화랑도)

  교 육

태학․경당(소수림왕)

박사․조교

화랑도

학  술

국사

「유기」→「신집」(이문진)

「서기」(고흥) ; 근초고왕

「국사」(거칠부) ; 진흥왕

● 국사의 편찬 목적 : 고대 국가 성립을 대외에 선포하는 계기. 국력의 신장 의미

한문학

광개토왕비, 중원고구려비

을지문덕 오언시

사택지적비, 개로왕국서

무령왕릉지석

임신서기석, 진흥왕순수비

단양적성비, 울진봉평비

기술학

역학, 의학, 천문학

건축, 금은세공, 유리술

천문학, 조선술, 축제술

예  술

강서대묘-사신도

쌍영총-기사도

무용총-무용도, 수렵도

각저총-씨름도

송산리․능산리 고분 ; 금동용봉봉래산향로 출토(도교)

미륵사지, 서산마애삼존불

정림사 5층석탑

천마도(벽화 아님)

분황사 석탑

황룡사 9층목탑

첨성대

삼국 모두 금동 미륵 여래상․보살상 제작

일본문화

혜자, 담징(호류사 벽화)

아직기, 왕인, 노리사치계

축제술, 조선술 영향

아스카 문화에 영향을 끼침(고송총;다까마스고분-고구려 영향)

고분양식

전기;돌무지무덤(장군총)

중기;굴식돌방무덤(고분벽화)

초기;돌무지무덤(고구려계통)

웅진,사비;굴식돌방,굴식벽돌

돌무지덧널,돌방무덤

*벽화×

◎ 고분양식의 의미 ; 민족의 계통 고찰시 도움이 된다.

2) 통일신라․발해의 문화

구   분

통  일  신  라

발     해

성   격

민족문화기반, 조형미술(불교미술중심), 민간문화 향상

고구려+당 문화의 융합+말갈문화

불   교

원효(법성종, 민중불교-화쟁사상)

의상(화엄종)

혜초(「왕오천축국전」)

선종의 발달(신라하대, 지방화)

고구려 계통의 열반종

이론의 체계화, 대중화, 종파간 대립완화, 왕권전제화의 이론적 기반

도   교

지방호족, 6두품계열이 신봉

발해의 정효공주 묘지

풍수지리

신라 정부의 권위 약화 초래

 

교   육

국학(신문왕)→태학감(경덕왕)

주자감

학 술

한  

문  

설총의 「화왕계」(이두)

김대문의 「화랑세기」(독자적학문)

최치원의 「토황소격문」(계원필경)

강수의 「답설인귀서」(외교문서)

정혜․정효공주 묘지

발해문자,

당에 유학생 파견

무구정광대다라니경(석가탑)

 

◉ 독서삼품과(원성왕 4년, 788)

예   술

석굴암, 불국사, 성덕대왕 신종

불상, 자기(당에 수출)

일본문화

하쿠호 문화에 영향

 

고분양식

굴식돌방무덤,호석(둘레돌)

굴식돌방무덤


3) 통일신라 말기 선종의 등장과 고려 무신집권기의 조계종의 등장

   ① 선종의 성격

      ․개인적인 정신세계를 찾는 경향. 새로운 시대의 정신적 기반

         -> 호족의 취향에 적합 : 중세 지성의 바탕이 됨

      ․지방 호족과 6두품 출신들이 신봉(반신라적 사상)

   ② 영향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짐

      ․반신라적인 움직임과 결부됨(민중적이며 혁신적인 성격)

      ․고려 왕조 개창의 사상적 기반이 됨

   ③ 선종이 유행한 시기 : 나말 여초와 고려 무신난 이후


제 5 장 중세사회로의 이행



1. 나말여초의 역사적 흐름      

신 라 정 부

                                     

골품제도의 붕괴

중앙귀족의 부패

농민의 봉기

            

                       반  정  부   세  력

   호족의 대두

      반독립적 지방세력

    선  종

토착적 지방세력

중앙귀족의 호족화

해상세력, 군진세력, 초적세력

(지방 행정,군사,경제권 행사)

반신라적 사상

 

                                       ↓

                                

후삼국 성립

                ※

후고구려(901)

                                       ↓                                 ↓

 

  후백제(900)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고려의 후삼국 통일

                

  태  봉(911)

 

신라항복(93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ꠎ                                        ↓

                                                                     

  고  려(918)

2. 민족의 재통일

  ․중세 사회의 방향 제시 : 수취 체제 개선, 골품 제도 폐지


3. 중세 사회의 성격

  ① 문벌 귀족의 형성(호족)

  ② 유교적 정치 질서 중시

  ③ 중세 문화 발달

     ․혈족적 관념과 종교적 테두리에서 탈피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 문화

     ․지방 문화 발달

  ④ 민족 의식 형성


4. 태조 왕건의 개혁 정책

  1) 개혁 정책

    ① 애민 정책 : 조세 감면, 전쟁 회피

    ② 민족 융합 정책 : 골품제 폐지, 각계 각층의 정치 세력 포용,

                        능력 본위의 개방적  사회 건설

    ③ 북진 정책 : 고구려 계승 이념을 토대로 북방 영토 확장

  2) 호족 세력의 통합

    ① 회유책 : 정략 결혼, 중앙 관리화

    ② 견제책 : 사심관 제도, 기인 제도

  3) 훈요 10조 : 숭북정책(연등회, 팔관회 중시), 민심 수습과 왕실의 안전 도모


☞ 훈요 10조를 통해 본 고려 사회

       ․제 1조 ː 고려 건국은 부처의 도움(불교 숭상)

       ․제 2조 : 도선의 풍수사상 숭상

       ․제 3조 : 왕위계승에는 적자․적손 순으로 할 것.

       ․제 4조 : 당풍의 계승과 거란 배격

       ․제 5조 : 서경 중시

       ․제 6조 : 연등회, 팔관회의 강조

       ․제 7․9․10조 ː간언의 경청과 민심수습, 녹봉의 균등, 정치에 경사 참조

       ․제 8조 : 차현(금강) 이남의 인물 등용 금지


5. 광종의 왕권 강화 정책(호족 세력과의 갈등)

노비안검법 실시

 

과거제도 실시

 

백관의 공복 제정

 

칭제건원, 독자적 연호 사용

 


6. 성종의 중앙집권 체제의 확립 ← 유교 정치 사상의 채택

       배          경

 

최승로의 시무 28조

유교 이념 채택과 중앙집권적 귀족 정치

중앙관제의 정비

 

지방관의 파견 → 12목 설치

 

문벌 귀족사회의 토대 마련

왕권의 전제화 견제 기능 겸비


7. 통치 조직의 정비

1) 중앙 정치 기구

  ① 태봉과 신라의 관제 병용     ② 당의 영향 : 3성 6부제

  ③ 송의 영향 : 중추원, 삼사     ④ 독자적 제도 : 도병마사, 식목도감

   

도 

병   마   사

재  

중서문하성(장;문하시중)

정책 수립․심의

 

 

 

 

 

  상 서 성

(장;상서령)

6부

이․병․호․형․예․공(행정분담, 정책집행)

 

 

 

 

 

 

추   부

  중 추 원

왕명출납

군사기밀

 

  어 사 대

풍기단속, 감찰 수행

 

  삼    사

화폐와 곡식의 출납 및 회계

 

  대    성

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낭사

서경권, 간쟁권(왕권 견제 기능)

◉ 도병마사

중서문하성고관 + 중추원고관

국가 중요정책 합의(재추합의제기관)

◉ 식목도감

국가 주요 의식 관장, 법령제정

 


2) 지방 행정 조직

  ① 정비 과정 : 12목 설치(성종) → 4도호부, 8목(현종) → 5도 양계(현종)

 

  5도

(안찰사)

주, 군

지사 파견

 

 

 

 

 

주현

지방관 파견

촌(촌장)

향․소․부곡(특별행정구역)

속현

지방관 없이 향리가 지배

 

 

 

 

 

 

 

양계

(병마사)

군사요충지, 지방관 파견


  ② 향리 : 지방의 실제 행정 담당, 조세․공납․요역 징발,

            일품군 지휘, 외역전 지급, 과거 응시를 통한 관직 진출 가능


※ 고려와 조선의 지방 제도의 비교

   구     분

        고         려

         조       선

  향리의  역할

지방 실무행정 담당

외역전(세습)

수령보좌로 지위 격하

무보수 → 이로 인한 폐단

  지방관 파견

속현에는 파견 안됨

모든 군․현에 파견

지방세력 견제책

기인제, 사심관 제도

상피제, 임기제

  행 정  조 직

군현까지 편제(천민집단존재)

면․리제 완성(천민집단폐지)


3) 군사 제도

중앙군

2군(국왕 친위군),  6위(수도 경비 업무),  중방(군사 최고 회의 기구)

정치적 성격이 강한 직업 군인 (군인전 지급)

 

 

 

 

 

 

 

지방군

주․현군(5도에 배치)

농민으로 구성된 향토 방위군(일품군 포함)

국방적 성격이

강한 의무병

주진군(양계에 배치)

국방의 주역을 담당한 상비군

제 6 장 귀족 지배 체제의 동요와 대외관계의 변천



1. 귀족 지배 체제의 동요와 무신 정권

1) 고려 시대 개관


   고려전기                        (무신난 1170)                    고려후기

10C              11C            12C

          13C                 14C

문신관료

               

문벌귀족

    

  무  신

        

권문세가

① 최승로               ① 최충, 김부식    하극상의 풍조     자주성의   ⇑

② 김심언 등            ② 보수적 사회                       시련기    공민왕의

    진취적 사회                                                         개혁정치

                         과거를 통해 꾸준히 중앙 정계 진출               ⇓

  향  리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신진사대부

  고 려 초 기

     고  려  중  기

무신집권기

  원 간 섭 기

개혁정치기

                                                     원                명(1368)

           <거란의 침입>  <여진의 압력>     <몽고의 침입>       <홍건적,왜구>


☞ 메  모








2) 문벌 귀족의 형성과 성격

  ① 형성 : 과거를 통해 진출한 문신 관료들이 문벌 형성

  ② 성격 : 신라의 폐쇄적 혈연 본위의 귀족에 비해 능력 본위의 개방적 존재

  ③ 특권 : 음서, 공음전 등 특권 소유 → 점차 보수화


3) 이자겸의 난(1126, 인종 4년)

원 인

문벌 귀족의 폐쇄적 혼인 관계 → 왕실과의 통혼 추구

경 과

외척 경원 이씨의 장기 집권 → 이자겸 세력의 왕권 능가

→ 인종의 이자겸 제거 기도 → 이자겸의 반란 → 진압

결 과

왕권 약화, 서경 천도론 대두

개경파 귀족과 서경파 귀족과의 대립




4)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원 인

족벌(개경파)과 지역(서경파)의 대립

보수유교사상과 자주적인 풍수지리사상의 대립(전통사상과 사대사상의 대립)

고구려 계승 의식에 대한 이견

금에 대한 정책 대결

경 과

묘청의 서경 천도 추진 → 칭제 건원, 금국 정벌 주장 → 서경 천도 좌절 이후   반란(국호 : 대위국, 연호 : 천개) → 김부식의 관군에 진압

결 과

귀족 사회의 모순과 폐단 노출,  문을 숭상하고 무를 천시함

북진 정책 좌절

◉ 신채호 “조선 역사상 1천년래 제 일대 사건”


5) 무신 정변(1170)

① 배경 : 문신들의 권력 독점과 무신에 대한 차별 대우

② 무신 정권 변천표(1170~1271)

정   중   부

경   대   승

이   의   민

최 충 헌

           최       우

최항   최의

김준

임연

임유무

중  

도       방

중       방

교정도감,도방

교정도감(정적감시와 숙청 기구)

정방(독자적 인사행정기구, 공민왕 폐지)

서방(문인들의 숙위기관)

삼별초(정권 유지 위한 군사기구)

교정도감

정방

삼별초

시무 10조

(미반영)

③ 결과 ; 문벌 귀족 지배 체제의 와해

   ㉠ 전시과 체제의 붕괴 → 농장의 확대

   ㉡ 패관문학 유행

   ㉢ 선종의 조계종으로의 통합

   ㉣ 천민․농민의 신분 해방 운동


☞ 천민과 농민의 신분 해방 운동 : 공주 명학소의 망이․망소이의 난, 전주 관노의 난,

                                 운문의 김사미의 난, 개경 노비 만적의 난,

                                 최광수의 난(고구려부흥), 이연년의 난(백제부흥)


☞ 만적의 난(ꡔ고려사ꡕ 열전 42 최충헌전)

   : “신종 원년에 사노 만적 등 6명이 공사의 노예를 불러 모아놓고 국가에서 경계(무신난) 이래로         고관이 천예에서 많이 일어났으니, 장군과 재상이 어찌 씨가 따로 있으랴. 때가 되면 누구나 가         히 할 수 있는 것이다 .…… 이하(생략)”


2. 대외 관계의 변천

① 국제 정세의 변동

   ․거란의 성장 : 요 건국(916)

   ․송의 건국(960) : 고려의 친송정책, 거란 견제

   ․발해의 멸망(926) :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 → 정안국 건국(발해유민)


② 고려의 대외 정책

   ․친송 정책 : 광종 때 외교 관계 수립 → 거란 견제

   ․거란 배척 : 북진 정책 추진, 발해 유민 포섭

③ 거란의 침입과 격퇴 (9C~10C)

  

1 차

(993)

원 인

․고려의 북진 정책  ․거란에 대한 강경책

․고려의 친송 정책  ․정안국의 대거란 관계․

결 과

․소손녕과 고려의 서희가 외교 담판하여 강동 6주 설치

․대송관계 단절, 거란의 국교 수교 약속

2 차

원 인

․강조의 난을 계기로 고려가 1차 담판을 지키지 못하자 내침

결 과

․양규가 귀주에서 격퇴

․현종의 입조를 조건으로 강화 맺음

3 차

원 인

․고려 현종의 입조와 강동 6주의 반환 요구 거부 문제

결 과

․강감찬에 의한 귀주대첩(1019)

․요 연호 사용, 강동 6주의 획득

                         전      후      시      책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세력 균형 유지(고려, 송, 요)

․고려의 국방 강화 ; 개경에 나성 축조(1029), 천리장성 축조(1044)

․문화사업 ; 초조대장경 조판, 7대실록 편찬

․권농책, 감목양마법(군마 확보책), 주현공거법(향리자제 과거응시) 실시


④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10C~11C)

   ․여진 정벌(1107)과 동북 9성의 축조(1108) : 별무반을 이끌고 윤관이 여진 정벌

   ․금의 건국(1115) : 9성 환부 이후 고려 형제․군신관계 요구

     ※ 이자겸파 ; 금의 사대군신 관계 수락

        묘청파 : 금 정벌을 주장

   ․묘청의 난 실패 후 고려의 북진 정책은 사실상 좌절됨.


3. 대몽항쟁

  ① 13세기 초의 동아시아 정세 ; 금의 쇠퇴와 몽고의 만주 진출

  ② 몽고의 침입

제 1차 침입(1231)

고종 18년 몽고사신 저고여 피살 → 살리타 침공 → 강화조약 체결

제 2차 침입(1232)

최우의 강화도 천도를 이유로 침공 → 김윤후가 처인성에서 격퇴

제 3차 침입(1235)

고종 22년 대구․경주까지 침공 → 황룡사, 부인사 피해

제 4․5․6차 침입

․이후 거듭된 침입과정에서 무신 정권 몰락

․개경으로 환도(1270)

․삼별초의 항쟁 ; 강화도, 진도, 제주도


  ③ 자주성의 시련

 

일본 원정

정동행성 설치(이후 내정 간섭 기구화)

영토 상실

쌍성총관부(1258~공민왕), 동녕부(1270~충렬왕),

탐라총관부(1273~충렬왕) 설치

관제 변화

․2성 6부 → 첨의부와 4사

․순마소 설치 ; 감찰기관(개경 치안 담당)

․다루가치 설치 ; 지방행정 간섭 

명칭 변경

폐하→전하,  태자→세자,   조․종→왕,  왕위중조현상 


☞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로 변경 ; 고려 독자적인 변경

 

  ④ 문물의 교류 : 인종의 교류, 언어의 교류, 풍속의 교류(몽고풍, 고려양), 조혼 유행


     ※ 원나라 문화의 고려로의 전파

        ; 주자학, 목면(문익점), 이슬람 문화의 전래, 화약(최무선), 송설체(조맹부체) 


  ⑤ 충선왕의 업적(반원․반귀족 정치)

     : 사림원(개혁추진의 중추적 고문기관),  의염창(염․철의 전매)

  ⑥ 공민왕의 반원개혁정치

 

배  경

14세기 후반 한족의 반란으로 원 세력의 쇠퇴, 신진사대부의 등용

    왕  권  강  화  정  책

       반  원  자  주  정  책

전민변정도감 설치, 과거제 확충

정방 폐지, 토지 개혁 시도(실패)

친원 세력 축출,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도병마사 부활, 쌍성총관부 탈환

관제 복구, 몽고풍 폐지, 요동수복운동

실패 요인

원의 압력과 권문 세족의 반발

개혁추진 세력인 신진사대부 세력의 정치․경제적 미약


제 7 장 중세의 사회와 경제



1. 고려의 사회구조

  1) 지배 계층의 변천 ; 호족 → 문벌 귀족 → 무신 → 권문 세족(→ 신진사대부)

  

  고려 전기의 지배층

         고려 후기의 지배층

    문 벌 귀 족

            권 문 세 족

호족의 중앙관리화

개국공신의 세력화

신라 6두품의 과거진출

元을 배경으로 등장(응방, 역관 출신)

무신 가문

재상 가문

문신, 유학자

비유학자

왕실․귀족간 통혼

원과 결탁

과거․음서로 진출

주로 음서로 진출

공음선 세습

거대한 농장, 노비 소유로 경제력 강화

관직에 집착하지 않음

가문과 문벌 중시

(보다 귀족적)

관직에 집착

도평의사사 장악

(보다 관료적)


     2) 신분구조(4계층)

     

귀족

 

왕족, 문무고위 관료

(문벌귀족․권문세족)

 

    

중간계층

 

하급관리, 기술관, 서리

남반, 향리, 하급장교

 

     

양인

 

일반농민(백정),

상인,  수공업자

 

    

천민

 

공사노비, 화척, 진척, 재인,

향․소․부곡민

 


☞ 고려시대의 백정 : 국가로부터 토지를 분급받지 못한 일반 백성을 말한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백정은 도살업에 종사하는 천민을 이른다.


     3) 신진사대부의 성장과 영향

    

구  분

                     내                     용

배  경

각종 특권속에 살던 권문세족에 대한 반발과 고려사회의 모순을 시정하고자 함

특  징

․사대부란 유학자(士)와 관료(大夫)를 의미,

․유교적 교양과 실무정치 능력을 갖춘 학자적 관료

․향리에 있는 소규모 농장이 경제적 기반

분  파

급진파

정도전, 남은 등은 온건파를 제거하고 친명정책 고수

토지개혁과 노비해방 등 조선왕조 개창의 기반 마련

온건파

이색, 정몽주 등은 고려 왕조내에서 점진적 개혁을 추구




2. 사회 시설과 법속

    1) 사회 시책

      ․농민 보호책 : 농번기 잡역 동원 금지, 재해시 조세와 부역 감면, 고리대 이자 제한

      ․권농 정책 : 국왕의 친경, 황무지 개간 장려

    2) 사회 시설

    

   명    칭

시기

        내       용

         특         징

   의    창

성종

태조의 흑창을 확장

춘대 추납 제도(빈민 구제)

   상 평 창

성종

개경,서경,12목에 설치

물가 조절 기구

   제 위 보

광종

기금의 이자로 빈민구제

빈민 구제 재단

동․서 대비원

예종

개경의 동․서, 서경에 설치

빈민 환자 구휼 기관

   혜 민 국

예종

빈민에게 무료로 시약

국민 보건,의약 담당

구제․구급도감

정종

 

질병치료, 빈민구제의 임시관청

    3) 법률과 풍속

      ․원 칙 : 대가족 위주의 관습법 중심, 형벌은 당률 71조 모방, 지방관의 사법권

      ․형벌의 종류 : 태 - 장 - 도(징역) - 유(귀양) - 사(사형),  반역죄․불효죄는 사형

      ․풍 속 : 여자 18세, 남자 20세 전후에 혼인, 근친혼․동성혼 성행

              : 상장제례는 토착신앙 + 불교 + 도교,  팔관회․연등회 중시


3. 경제 정책과 경제 구조

    1) 토지 제도의 정비

 

시 기

토 지 명 칭

     지  급  대  상

       특      징

태 조

역분전

개국 공신

논공행상적 성격

경 종

시정 전시과

문․무 직산관(전현직관)

관품과 인품을 병용

최초의 전국 규모 토지

목 종

개정 전시과

(18품 전시과)

문․무 직산관

군인전도 포함

문 종

경정 전시과

문․무 현직관

공음전 지급

☞ 전시과의 원칙

    1. 소유권 - 국가(토지국유제)

    2. 수조권 - 국가․관청(공전), 개인․사원(사전)

    3. 경작권 - 농민 혹은 외거노비

☞ 전시과의 특징

    1. 관등의 고하에 따라 전지(논)와 시지(산)를 각각 지급

    2. 토지 소유권 지급이 아닌 수조권 지급

    3. 본인이 죽거나 퇴직시에는 수조권 반납이 원칙

토지 종류

공음전

공신전

내장전

외역전

군인전

  구 분 전

  공 해 전

  한 인 전

  사 원 전

  별 사 전

민전(농민)


※ 민전(民田)

   : 고려 시대 농민의 대다수인 백정이 경작한 토지로 조상대대로 세습되는 사유지



※ 고려의 전시과와 조선의 과전법 비교

  

구분

       전     시     과

         과    전    법

   ․토지 국유제 원칙          ․전현직관에게 수조권 지급

   ․관등에 따른 차등 지급     ․세습 불가(예외는 있음)

․전국 어느 곳이나 지급 가능

․관리의 수조권 행사 불가능

․농민의 경작권 보장 안됨

․경기도에 한해서 지급

․관리가 직접 수조권 행사

․농민의 경작권 보장


※ 전시과 체제의 붕괴

   ㉠ 전시과 체제의 붕괴 ; 12C 정치적 혼란, 수급지의 부족, 농장의 발생

   ㉡ 농장의 확대

       ☞ ꡔ고려사ꡕ 식화지 서문에서 “山川爲標”라 할 정도로 농장이 확대되고,

          사전은 물론 공전도 농장에 편입될 지경

       ☞ 농장내 직접 생산자인 전호와 노비는 면세․면역됨에 따라

          국가의 수세가 감소되고 전호나 노비는 농장주의 가혹한 수탈하에 있었다.

   ㉢ 농장의 영향 ; 국가재정의 궁핍, 노비의 증가, 신․구 세력의 대립(권문세족-신진사대부)


   2) 수취 체제의 확립

 

조 세

토지세, 민전(1/10), 사전(1/2), 공전(1/4)

공 납

고을별로 할당되는 특산물, 상공․별공으로 구분, 戶 단위로 징수

  역

10세~60세의 정남을 대상으로 노동력 수취

특수업

어염세, 상세 등을 부담              


   3) 경제 활동의 진전(산업구조)

 

   농  업

우경에 의한 심경법, 2년 3작 윤작법, 시비법 → 농업생산력 발달

이암 ꡔ농상집요ꡕ(양잠 장려),   문익점의 목화

  수 공 업

관청 수공업 중심(무기류, 장식물, 도자기)

농촌 가내수공업(포목류),   사원수공업,   所수공업(자기)

상업․금융

자급 자족적 경제 체제로 상업과 화폐 유통 부진

경시서(시전감독, 물가조절),  화폐 주조(최초; 건원중보,996),  보의 발달

대외 무역

예성강 벽란도(북송,남송과 무역), 합포(마산),

기타 거란, 여진, 일본, 아라비아 상인과 교육


제 8 장 중세 문화의 발달



1. 중세 문화의 성격

    1) 문화의 성격(귀족문화 + 지방문화)

      ․귀족 문화 : 청자, 불교 회화, 금속공예 분야에서 호화롭고 정교한 기술을 과시

      ․지방 문화 : 균형을 잃은 석불, 토기, 둔마리 고분벽화 등 소박한 미를 반영

    2) 중세 문화의 특성

      ․호족의 문화

      ․유․불 융합문화

      ․출판문화의 발달

      ․불교미술과 공예의 발달


2. 유학과 한문학

    1) 유학의 발달

   

배 경

유학자 우대, 학교 설치(태조 ; 숙), 과거제(광종), 문한 기구 정비(광종),

비서성 설치, 유교 정치 이념 채택(성종)

학 풍 

변 천

초기(10C말~11C전반)

자주적, 주체적 학풍(최승로, 김심언)

중기(11C중기~13C중엽)

보수적, 사대적 성격(김부식, 최충)

  성리학의 전래

(안향→백이정→

이제현→신진사대부)

․우주의 근원과 인간 심성 문제를 철학적으로 규명 시도

․선종불교의 철학적 사변을 유교에 접목(5경보다 4서 중시)

․실천적 기능 강조(「소학」, 「주자가례」 권장)

영  향

훈고학적 유학→철학적 유학으로,  배불론 대두


   ※ 고려의 문한 기구

      비서성(궁중 도서관),  수서원(서경의 도서관), 

      청연각(예종, 도서 수집 및 보관장소),  보문각(청연각 학자들의 휴식과 숙식)


   2) 사서의 편찬

  

13C

                       유  교  적   역  사   서  술

「7대실록」, 「고금록」(박인량 ; 편년체), 「삼국사기」(김부식 ; 기전체, 현존 最古의 사서)

후  

                     후 기 의  자 주 적  역 사  서 술

「해동고승전」(각훈), 「동명왕편」(이규보), 「삼국유사」(일연), 「제왕운기」(이승휴)

                       성 리 학 적  사 관 의  등 장

「사략」(이제현) - 유교의 합리주의적 사관에 입각. 정통과 대의명분 강조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비교

  

삼국사기(김부식 ; 인종, 1145)

삼국유사(일연 ; 충렬왕, 1285)

기전체 정사

야사 중심, 기사본말체

유교적․보수적 입장

불교적․자주적 입장

삼국의 건국설화로부터

왕조 중심으로 서술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인식

자주의식 표방


   3) 교육 기관과 교육 시책

    ① 교육 기관

      ․태조 : 개경․서경에 학교 설립(숙)

      ․성종 : 국자감 설치(992) - 3학(국자학/태학/사문학)과 잡학(율/서/산학), 9년, 박사․조교.

    ② 사학의 발달(중기) : 최충의 문헌공도 등 사학 12도 융성

    ③ 관학 진흥책

      ․서적포 설치(숙종)

      ․7재와 양현고 설치(예종)

      ․경사 6학 정비와 향교 설치(인종)

      ․섬학전(장학기금)과 대성전 설치(충렬왕)


   4) 과거 제도와 음서 제도

    ① 과거 제도 : 광종(958)의 왕권강화책 → 명경과, 제술과, 잡과, 승과 (※무과 없음)

    ② 음서 제도 : 공신 및 5품이상 고관 자제의 특채 → 문벌귀족 강화 (※조선의 문음은 2품이상)


   5) 문학의 발달

    ① 향    가 : 균여의 보현십원가 11수

    ② 설화문학 : 이규보 ꡔ동국이상국집ꡕ, 진 화, 패관문학

       ☞ 진 화

         : “송은 이미 쇠퇴하고 여진은 미개하니 문명의 아침은 동방의 하늘을 빛내고자함이다.”

           라는 유명한 시를 남겨 자주적인 기상을 보여 주었다. 

       ☞ 패관문학

         : 무신란 이후 문신들의 현실 도피 경향과 무인정권기의 문신 우대 정책으로 발달

         : 이인로 ꡔ파한집ꡕ, 이제현 ꡔ역옹패설ꡕ, 임춘 「국순전」, 이규보 「국선생전」 등

    ③ 시가문학

      ․경기체가(향가의 형식을 계승) : 「한림별곡」, 「관동별곡」 등

      ․어부가 : 처사적 문학

      ․장  가 : 민중의 속요 「동동」 「정읍사」 「처용가」 「쌍화점」 「청산별곡」 「서경별곡」 등

      ․시조의 탄생 : 우탁(최초의 시조 작가)


3. 도교와 풍수 지리 사상의 유행

    1) 도교의 발달 : 도사가 초제 주관, 불교적 요소 강함

    2) 풍수 지리설 : 「도선비기」, 「해동비록」 편찬, 서경 길지설과 남경 길지설 → 정치적 문제



4. 불교의 발달 

  

  구    분

                  내                           용

  성    격

귀족․호족 불교로서 현세구복적 불교, 호국불교

  천 태 종

의천(해동 천태종 창시), 교관겸수(화엄종 입장에서 선종 통합 시도)

  조 계 종

지눌(조계종 창시), 혜심(유불일치론), 정혜쌍수․돈오점수,

신앙 결사 운동 발생, 무신정권의 후원, 성리학 수용의 과도기적 역할

국민사상의

  통    일

호국불교로서 국민사상의 통일과 국민정신을 지도

국태안민을 기원하고 불력에 의한 외침극복 시도(대장경 조판)

  불 교 의

  폐    단

막대한 토지와 노비 소유, 각종 면세와 면역의 특권, 고리대업, 상업(양조)

→ 신진 사대부와 첨예한 대립 (정도전 「배불론」)

  대 장 경

  조    판

초조대장경

1011년 거란을 격퇴하기 위해 완성(부인사 ; 몽고 난 소실)

속  장  경

의천이 교장도감 설치(몽고 난 소실)

팔만대장경

몽고의 침입을 격퇴하기 위해(합천 해인사 보관)


5. 과학 기술과 예술의 발달

 

분    야

            전         기

             후         기

대 장 경

․초조대장경(목판인쇄술)→거란 격퇴

․팔만대장경→몽고격퇴 염원

금속활자

․「상정고금예문」(1234, ꡔ동국이상국집ꡕ)

  → 쿠텐베르크 금속활자보다

     200여년 앞섬

․「직지심경」(1377) → 현존세계 最古

공    예

․귀족들의 생활 도구와 불구 중심

․고려자기(청자)

․상감청자(무인정권기) → 은입사 발달

 

목조건축

․만월대 등의 궁전

․봉정사 극락전(현존 최고 건축)

․부석사 무량수전(주심포 양식)

․석왕사 응진전(다포 양식)

석탑(부도)

․다양한 형식 시도

․현화사 7층 석탑(신라)

․월정사 8각 9층 석탑(송)

․부도는 선종과 관련

․경천사 10층 석탑(원)

서    예

․왕희지체, 구양순체

․송설체, 시화일치론(이규보,이제현)

회    화

․왕실과 귀족의 취미생활

․도화원

․문인화 유행(원 영향)

․천산대렵도, 혜허의 관음상

음    악

․신라 이래의 향악 발달

․송의 대성악 유입 → 아악으로 발전

 


출처 : 태계황선생
글쓴이 : dalcom 원글보기
메모 :